십성(十星)

편식(偏食)

乙寅 2024. 8. 16. 11:06
728x90

대중에게는 식신으로 쓰이나 본인은 농경사회의 정관 정재 중심의 십신명칭은 각각의 기운에 그릇된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고 생각하며 급변하는 현대사회와 이치에 맞지 않다고 생각해 편식으로 재명명했다. 편과 정이란 명칭 또한 더욱 중립적인 표현으로 하고 싶으나 한번에 많은 명칭변경은 거부감이 심하게 들고 편정은 식신 상관 비견 겁재에 비해 의미의 기울어짐이 덜하기 때문에 유지하고 있다.

 

 개요

  • 생하는 오행 / 같은 음양

 의미

양이 양을 생하고 음이 음을 생하니 자식이 부모에 의지하여 생육되는 것과 같고 부모가 자식의 녹을 먹는 것과 같다. 지장간에 소장된 지지도 편식이 된다.

 

편식이 기세가 있으면 재성과 관성을 감하지 않고 편식격을 이루면 장수의 복을 겸할 수 있다. 편관과 만나면 편관을 물리치고 일주가 손상당하면 일주의 원수를 갚을 수 있다.

 

음간의 편식은 편관을 가장 잘 제압해서 나라를 안정시키는 것과 같고, 양간이 편식을 만나면 겸하여 정관을 보좌하여 정권을 잡고 중요한 직책을 맡게 된다. 편식이 공망의 자리에 앉으면 자식이 없는 것과 같기 때문에 편식이 재성을 낳으면 아름다운 국을 이룰 수 있다. (비성 → 식성 → 재성)

 

대체로 편식은 귀하게 작용하지만 반드시 재성이 근원에 통하는지 보아야 한다. 편식이 손상당하는 것은 편인 때문이며 정인과 정관이 많이 보이는 것도 적합하지 않음에 속하며 비성이 중첩된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편식이 월령이면 공허함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나 조금이라도 정식이 섞이면 곧 혼탁함을 이루며, 일주가 강하고 편식이 적으면 가난하며 일주가 약하고 편식이 많으면 입과 배에 재앙이 생기므로 대세운에서도 이에 준거하여 추론해야 한다. 편식이 많아 근심할 때는 편인을 만나면 쓸모있게 되나, 편식이 적을 때는 편인을 억제해야만 근심을 없앨 수 있다.

 

편식이 있어도 재성이 없으면 먼지 국물이나 흙으로 만든 밥과 같다. 편식을 쓸 때 편인을 만나면 팔을 비틀고 목을 누르는 것과 같다. 궁성에 편식이 가득하면 기명의 예로 의지해야 하고, 한 가닥의 외로운 일주라면 마땅히 종식(從食)을 행하고, 편식이 왕상의 방향으로 행하면 축복이 광주리에 가득하며, 사절지로 행하면 솥 안의 음식을 엎지르고 음식을 남겨 주는 것과 같으며, 재성으로 순행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인성이 강하여 운에서 억제됨을 심하게 꺼리니 재앙이 원수처럼 일어나고 관성으로 행하면 극하는 것일지라도 마땅히 참작해야 하고 비성을 만나면 생을 만나는 것과 같으나 허물이 있다.

 

편식의 성정이 본래 순수해 비록 그 무리가 많아도 정식으로 논하지 않는다.

 

 욕구

  • 생리욕구

 일간 별 특성 (장기 업데이트 과제)

 

728x90

'십성(十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성(財星)  (0) 2024.08.16
정식(正食)  (0) 2024.08.16
식성(食星)  (0) 2024.08.16
정비(正比)  (0) 2024.08.16
편비(偏比)  (0) 2024.08.16